반응형
알고리즘 종류
- MST
사고 과정
1. 섬에 번호를 표시합니다.
2. 각 섬의 격자에서 연결 가능한 다리를 모두 구합니다.
2-1. 이중 for문으로 땅에서 4방향으로 뻗어서 다른 섬에 닿으면 연결된 섬과 거리를 저장합니다.
3, Kruskal 알고리즘을 사용합니다.
3-1. 다리가 저장된 벡터를 거리 오름차순으로 정렬합니다.
3-2. 하나 씩 꺼내서 최소 연결 다리를 만듭니다.
4. 모든 섬이 연결되었는지 확인합니다.
4-1. Union-Find 알고리즘에서 Find을 이용해서 부모가 모두 동일하면 섬이 모두 연결되었습니다.
구현(C++)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
#include <iostream>
#include <vector>
#include <cstring>
#include <algorithm>
#include <queue>
using namespace std;
int n, m;
int mark = 1;
int mat[11][11];
int isVisited[11][11];
int parents[7];
vector<pair<pair<int, int>, int> > edges;
vector<pair<int, int> > locations;
int dir[4][2] = {{1,0}, {0,1}, {-1,0}, {0,-1}};
bool isValid(int y, int x){
return (y>=0 && y<n) && (x>=0 && x< m);
}
// 섬에 번호를 표시합니다. BFS
void mark_island(){
// 좌료를 저장해준 값을 가져옵니다.
for(int i=0; i<locations.size(); i++){
int y = locations[i].first;
int x = locations[i].second;
if(isVisited[y][x]) continue;
queue<pair<int,int> > q;
q.push({y, x});
mat[y][x] = mark; // 현재 위치 표시합니다. 이거 안해서 시간을 낭비했습니다.
while(!q.empty()){
y = q.front().first;
x = q.front().second;
q.pop();
for(int d=0; d<4; d++){
int ny = y + dir[d][0];
int nx = x + dir[d][1];
// 이동하는 곳이 물, 방문했던 곳, 범위 밖이면 하지 않습니다.
if(mat[ny][nx] == 0) continue;
if(isVisited[ny][nx]) continue;
if(!isValid(ny, nx)) continue;
isVisited[ny][nx] = 1;
mat[ny][nx] = mark;
q.push({ny, nx});
}
}
// 섬 하나를 끝냈으면 다음 섬을 기약합니다.
mark ++;
}
}
// 섬을 연결하는 모든 길을 찾습니다.
void find_paths(){
for(int y=0; y<n; y++){
for(int x=0; x<m; x++){
if(mat[y][x] == 0) continue;
for(int d=0; d<4; d++){
int ny = y + dir[d][0];
int nx = x + dir[d][1];
// 육지에서 다음으로 갈 장소가 육지거나 범위 밖이면 하지 않습니다.
if(mat[ny][nx]) continue;
if(!isValid(ny, nx)) continue;
int dist = 0;
while(true){
// 다리 길이를 늘려줍니다.
ny += dir[d][0];
nx += dir[d][1];
dist++;
// 범위 밖이거나 자기 자신이면 하지 않습니다.
if(!isValid(ny, nx) || mat[ny][nx] == mat[y][x]) break;
// 다른 섬에 도착하면 길이가 1이하인 것은 제외하고 저장합니다.
if(mat[ny][nx]){
if(dist <= 1) break;
edges.push_back({{mat[y][x], mat[ny][nx]}, dist});
break;
}
}
}
}
}
}
bool cmp(pair<pair<int, int>, int> a, pair<pair<int, int>, int> b){
return a.second < b.second;
}
int getParent(int x){
if(parents[x] == x) return x;
return parents[x] = getParent(parents[x]);
}
void unionParents(int a, int b){
a = getParent(a);
b = getParent(b);
if(a < b) parents[b] = a;
else parents[a] = b;
}
// MST
void kruskal(){
// krukal을 위해서 다리 길이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합니다.
sort(edges.begin(), edges.end(), cmp);
for(int i=1; i<=mark; i++) parents[i] = i;
int sum = 0;
for(int i=0; i<edges.size(); i++){
if(getParent(edges[i].first.first) != getParent(edges[i].first.second)){
sum += edges[i].second;
unionParents(edges[i].first.first, edges[i].first.second);
}
}
// 모든 섬이 연결되었는지 확인합니다.
// 모든 섬에서 부모를 구해서 부모가 같으면 됩니다.
// 부모가 다르게 나오면, 모든 섬이 연결되지 않았습니다.
int firstIsland = getParent(1);
for(int i=2; i<mark; i++){
if(firstIsland != getParent(i)){
cout << -1 << endl;
return;
}
}
cout << sum << endl;
}
int main(void){
cin >> n >> m;
// 입력을 받습니다.
int state;
for(int i=0; i<n; i++){
for(int j=0; j<m; j++){
cin >> state;
mat[i][j] = state;
// 섬일 경우, y와 x의 좌료를 넣습니다.
// 2중 for문을 피할려고 하는 것입니다. 2중 for문을 사용해도
// 시간초과는 나지 않습니다.
if(state) locations.push_back({i, j});
}
}
// 섬에 번호를 표시합니다.
mark_island();
// 섬을 잇는 다리를 모두 찾습니다.
find_paths();
// 모든 섬을 연결하는 다리의 최소 길이를 구합니다.
kruskal();
}
|
cs |
시행착오
- 섬에 번호를 표시하는 과정에서 첫 번째 위치를 표시하지 않은 실수를 했다. 그래서 섬의 크기가 1인 경우에서 오류가 발생했다.
- 알고리즘 전체 흐름은 구체적으로 생각했지만, 섬이 모두 연결되었는지 확인하는 방법을 잊고 있었다. 처음에 섬의 개수만큼 배열을 만들어서 연결되었는지 확인하는 방법을 떠올렸지만 잘못 구현했다. 그래서 찾아보니 Union-Find에서 Find을 그대로 이용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었다. 두 개의 섬의 부모가 같으면 두 섬은 연결되어 있다.
- 이전에 한 번 실패하고 어렵다고 느껴서 도전하지 않고 있었다. 이렇게 다시 풀어보게 된 것은 3개월만이다. 처음에 실패했던 문제에 대한 두려움이 있었지만, 쉽게 방법을 떠올릴 수 있었다. 이전보다 더 발전된 것을 스스로 느꼈다.
반응형
'코딩 공부 > 백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C++] 16926 배열 돌리기 1 (0) | 2021.02.11 |
---|---|
[백준][C++] 2437 저울 (0) | 2021.02.08 |
[백준][C++] 12015 가장 증가하는 부분 수열 2 (0) | 2021.02.06 |
[백준][C++] 1806 부분합 (0) | 2021.02.06 |
[백준][C++] 17281 야구 (0) | 2021.02.05 |